- HOME
사업공고
2025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해외연계)사업 해외 파견연구자 모집 공고 | |||
---|---|---|---|
카테고리 | 사업공고 | ||
접수기간 / 상태 | 2025-02-13~2025-03-31 | ||
공고일 | 2025-02-13 | 조회수 | 2342 |
작성자 | 김지영 문의하기 | 담당부서 | 산업인재사업실 |
연락처 | 02-6009-3784 | ||
첨부파일 |
![]() |
2025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해외연계)사업
해외 파견연구자 모집 공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해외연계) 연구개발기관은 해외 연구기관에서의 파견연구지원을 통한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해 석·박사 급 청년 공학인재를 다음과 같이 모집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2025년 2월 13일(목)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
|
가.목 적
❍해외 우수 연구기관(대학, 연구소 기업 등)과 공동연구·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글로벌 혁신인재 양성
나.내 용
❍해외 기관과 공동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국내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의 연구자가 글로벌 연구현장을 경험하거나 공동연구에 참여하도록 6~12개월 이내 해외 파견 지원
다.파견연구 지원분야
지원분야 | 세부지원분야 |
차세대반도체 | 시스템반도체, 반도체장비, 반도체소재, 메모리반도체 |
차세대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장비, 패널·모듈, 디스플레이소재·부품 |
이차전지 | 이차전지소재·부품, 이차전지장비, 이차전지제조, 이차전지재사용·재활용 |
미래모빌리티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친환경선박, 스마트자동차, 무인항공기(UAV), 친환경자동차, 스마트선박, 인프라·서비스 |
핵심소재 | 차세대세라믹소재, 신금속소재, 하이테크섬유소재, 첨단화학소재 |
지능형로봇 | 전문서비스로봇, 개인서비스로봇, 로봇기반기술, 제조로봇 |
디지털헬스케어 | 현장진단(POCT)휴대형기기, 지능형건강관리서비스, 개인용헬스케어기기 |
* 금번 모집공고를 통해서는 차세대반도체, 이차전지, 미래모빌리티,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디지털헬스케어 총 6개 분야에 대해 선발 예정
라. 해외 파견연구자 모집 연구개발기관(‘25. 2월 기준)
❍ 금번 모집공고 외 향후 추가 모집공고가 있을 수 있으니 관심있는 지원자는 기관별 홈페이지 상시 확인 또는 해당 기관 문의처에 문의 바랍니다. (2. 접수 및 문의처 참조)
❍모집기한, 연구주제 등 상세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 링크 확인 바랍니다.
주관 기관 | 선발 주체 | 지원분야 | 모집 인원 | 파견기관 | 홈페이지 |
고려대 | 고려대 | 지능형로봇 | 1 | Harvard University |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
고려대 | 지능형로봇 | 1 |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 ||
고려대 | 지능형로봇 | 1 | Johns Hopkins University | ||
고려대 | 지능형로봇 | 1 | University of California | ||
한양대 에리카 | 지능형로봇 | 2 | Newyork University, USA | 오프라인 공고 (gumuli@hanyang.ac.kr로 문의) | |
한국 로봇 산업 협회 | 지능형로봇 | 4 | (독일) 프라운호퍼 IFF, IPK 연구소 (덴마크) SDU, 올보르대학교, 오르후스대학교 | ||
국립 공주대 | 국립 공주대 | 미래모빌리티 | 1 |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
국립 공주대 | 미래모빌리티 | 1 | North Carolina A&T State University | ||
서울대 | 미래모빌리티 | 2 |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 ||
인천대 | 미래모빌리티 | 1 | Perdue University | ||
인천대 | 미래모빌리티 | 1 | Perdue University | ||
국립 공주대 | 단국대 | 미래모빌리티 | 1 | McGill University |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
단국대 | 미래모빌리티 | 1 | Nanyang Technology University | ||
청주대 | 미래모빌리티 | 1 |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 ||
청주대 | 미래모빌리티 | 1 |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 ||
서울대 | 서울대 | 미래모빌리티 | 1 | University of Toronto | |
서울대 | 핵심소재 | 1 | The Ohio State University | ||
서울대 | 핵심소재 | 1 | Boston University | ||
서울대 | 지능형로봇 | 1 | RWTH Aachen University | ||
서울대 | 지능형로봇 | 1 | Harvard University | ||
성균관대 | 성균관대 | 차세대반도체 | 1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
성균관대 | 이차전지 | 1 | Grenoble Alpes University | ||
성균관대 | 핵심소재 | 1 | Charles University | ||
성균관대 | 디지털헬스케어 | 1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
인하대 | 인하대 | 차세대반도체 | 2 |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
인하대 | 차세대반도체 | 1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 ||
인하대 | 차세대반도체 | 1 | Portland State University | ||
인하대 | 미래모빌리티 | 2 | Osaka University | ||
인하대 | 미래모빌리티 | 1 | Stanford University | ||
인하대 | 핵심소재 | 1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
인하대 | 핵심소재 | 1 |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 ||
인하대 | 차세대반도체 | 1 | Harvard University | ||
한양대 | 한양대 | 핵심소재 | 1 | Purdue University |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
한양대 | 지능형로봇 | 1 | Waseda University | ||
한양대 | 디지털헬스케어 | 1 | Northwestern University |
* 선발 주체별 모집기한이 상이하므로 반드시 홈페이지 링크 확인
마. 지원대상 및 자격요건
❍국내 대학 석박사 재학생 또는 국내‧외 석박사 학위 소지자
- (국적)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남성은 병역관련 법령에 따라 해외 체류가 가능한 자)
(학력) 국내 석박사 재학생 또는 국내외 석박사 대학원 7년 이내 졸업생(만 34세 이하, 박사후연구생 포함)
★ 단, 군필자의 경우 군 복무 기간만큼의 연령을 추가로 인정함
(전공) 파견분야 관련 이공계 전공 국내 석박사 재학생 또는 국내외 석박사 학위 소지자
★ 융복합 또는 자유전공인 경우 주요 이수 과목을 이공계열로 볼 여지가 있는 경우 지원 가능
필요시 해외 학위 보유자의 경우 전문기관이 해외학위 지도교수 또는 재직기관 대표 등
의 밀봉된 추천서 제출 요청할 수 있음
(어학) 영어 토플 IBT 88점(토익 770, 토익스피킹 IM3(130), TEPS-S 55, New-TEPS 294, OPIC IM2)
어학성적은 파견연구자 지원접수 마감일 기준 유효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국내 정기시험성적에 한하여 인정하며 조회불가 성적은 불인정(단,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등록된 어학성적의 경우 5년까지 인정)
파견기관이 요구하는 별도의 어학능력 인정기준이 있는 경우 전문기관과 협의하여 어학
기준요건 변경 가능(예시 : 스페인어권 소재 해외기관에 파견시 스페인어 관련 어학성적
을 보유하고 해외기관이 이를 인정할 경우 해당 성적으로 대체 가능)
학사학위 이상 해외 학위소지자는 어학성적 면제 가능(단, 해외 대학 소재국과 파견국의 사용
언어가 외교부가 발간하는 국가별 최신 개황 자료 내 주요 사용 언어와 상호간 일치하여야 함)
(성적) 최종학위 성적 3.0/4.0 이상 우수자
학점 변환기준 : 3.22/4.3, 3.37/4.5, 3.75/5.0, 75/100 이상
석박사통합과정 재학생은 최근 2개년 이상 성적을 최종학위 성적으로 인정 가능
(우대) ①중소‧중견기업 재직자, ②졸업 후 중소‧중견기업 취업을 약정한 석‧박사
재학생
(기타) 파견 연구자의 지원 분야 관련 연구계획 구체성, 우수성 등 해외 파견 연구
타당성도 선발 기준의 주요 요건으로 검토
바. 지원 내용 및 기간 : 파견연구자 인건비, 체재비 및 출국 준비금 등(6~12개월)
상세 지원 내용 및 기간은 각 주관기관마다 상이할 수 있음
인건비 지급 기준은 주관기관 내규에 따르며, 학생인건비는 석사 월 220만원, 박사
월 300만원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에 따름
체재비는 국가·도시별 상이할 수 있음
출국준비금은 항공권, 비자 및 보험 가입비 등 실비 지원
사. 파견 연구자 의무사항
❍출‧입국 등에 필요한 기간을 제외한 실제 연구기간을 기준으로 최소 해외 체류기간
(6개월 이상)을 준수하여야 함.
❍동 사업 지원을 받은 파견 연구자는 해외 연구‧연수 종료 후 1개월 이내에 반드시
귀국하여야 함. 불가항력적인 경우가 아님에도 1개월 이내 귀국 의무를 준수하지 않
을 경우, 해당자에 지원된 국비 전액 이내를 연구개발기관에 반납하고 연구개발
기관은 해당 금액을 정산 시 전문기관에 반납함
❍동 사업 지원을 받은 파견 연구자가 불가항력적인 경우가 아님에도 파견 연구를 중
단하거나 파견 의무사항을 불이행·불성실하게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해외 파견기관
으로부터 파견중단 통보를 받은 경우, 또는 제출기한 내에 연구성과 미제출 시, 해당
자에 지원된 국비 전액 이내를 연구개발기관에 반납하고 연구개발기관은 해당 금액
을 정산 시 전문기관에 반납함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미 지급된 파견연구자지원금을 일시에 환수하는 것이 곤란하다 고 인정되는 때에는 연구개발기관과 협의하여 이를 분할하여 환수할 수 있음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천재ㆍ지변ㆍ전시ㆍ사변 또는 국비반납 의무자의 상이ㆍ질병 등으 로 인하여 지원금의 환수가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 환수를 유예할 수 있음 ▸ 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원금을 받은 자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원 금을 환수하지 아니할 수 있음 1. 사망한 경우 2.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3. 장애의 정도가 중한 장애인이 된 경우 4. 신체ㆍ정신상의 이상으로 수학의 계속이 곤란하여 귀국한 경우 5. 기타 지원금을 환수함이 적합하지 아니하거나 불가능하다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인정 하는 경우 |
❍연구수행 결과물로 파견 종료 후 1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1년 이내 해외 협력기관 소속 연구자와 공동으로 논문을 게재 또는 발표해야 함(1건/인 의무)
국내외 학술지 논문 게재 또는 국내외 학술대회 프로시딩 발표까지 인정(포스터 발표 및 초록 불인정)
기업 재직자는 논문 대신 특허로 성과물 대체 가능
❍파견 연구자는 해외 파견기간 동 사업 인건비 계상률을 100%로 계상하여야 함.
❍파견기관과 계약기간 내 국내 체류 가능일은 해외 체류 1개월 당 1일을 허용함.
개인별 국내 체류 가능일을 초과하는 경우 체재비를 일할 계산하여 반납하여야 함
(파견기간에 대한 출입국사실증명서를 결과보고서에 첨부).
❍파견연구자는 파견기간 내 분기별 연구보고서를 연구개발기관에 제출하고 연구
개발기관은 전문기관 요청 시 이를 취합하여 전문기관에 제출해야함
아. 선발 방식 : 각 주관대학에 문의
※ 기관별 선발 기준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지원 전 각 주관대학에 문의 바람
|
|
주관기관명 | 지원분야 | 담당자 연락처 | |
전화번호 | 이메일 | ||
가천대학교 | 이차전지 | - | joshua9456@gachon.ac.kr |
고려대학교 | 지능형로봇 | 02-3290-4995 | hjbang@korea.ac.kr |
031-400-5292 | gumuli@hanyang.ac.kr | ||
070-4880-2398 | wjdtjddbs@korearobot.or.kr | ||
국립공주대학교 | 미래모빌리티 | 041-521-9271 | isbyun@kongju.ac.kr |
동국대학교 |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 - | jwsong0620@dgu.edu |
서울대학교 | 미래모빌리티,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 - | eunoia@snu.ac.kr |
성균관대학교 | 차세대반도체, 핵심소재 디지털헬스케어 | 031-299-6464 | pbrc@skku.edu |
연세대학교 | 이차전지, 핵심소재 | 02-2123-7818 | smilecmy@yonsei.ac.kr |
울산과학기술원 | 디지털헬스케어 | 052-217-6805 | juhee0927@unist.ac.kr |
인하대학교 | 차세대반도체, 미래모빌리티, 핵심소재 | 032-260-3122 | jyoon0131@inha.ac.kr |
중앙대학교 | 차세대반도체, 핵심소재 | - | jjoo8520@naver.com |
한양대학교 |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디지털헬스케어 | 02-2220-4110 | jyk2003@hanyang.ac.kr |
* 금번 모집공고 외 향후 추가 모집공고가 있을 수 있으니 관심있는 지원자는 기관별 홈페이지
상시 확인 또는 해당 기관 문의처에 문의 바랍니다.
* 전문기관 문의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인재사업실 김지영 연구원
(02-6009-3784 / jiyoung@kiat.or.kr)
- 담당부서 :
- 담당자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