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대전환의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성장 플랫폼

  • HOME

사업공고

사업공고의 게시글 내용입니다.
2024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해외연계)사업 해외 파견 연구자 모집 공고
카테고리 사업공고
접수기간 / 상태 2024-07-05~2024-07-31
공고일 2024-07-05 조회수 5636
작성자 신원석 문의하기 담당부서 산업인재사업실
연락처 02-6009-8588
첨부파일
  • 첨부파일 붙임_2024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해외연계)사업 해외 파견연구자 모집 공고(최종).hwpx(95KB)
  • 2024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해외연계)사업 

    해외 파견 연구자 모집 공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해외연계) 연구개발기관은 해외 연구기관에서의 파견연구지원을 통한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해 석·박사 급 청년 공학인재를 다음과 같이 모집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4년 7월 5일(금)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 1.개요

    • 가.목 적 

    • 해외 우수 연구기관(대학, 연구소 기업 등)과 공동연구·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글로벌 혁신인재 양성 

    • 나.내 용 

    • 해외 기관과 공동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국내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의 연구자가 글로벌 연구현장을 경험하거나 공동연구에 참여하도록 6~12개월 이내 해외 파견 지원

    • 다.파견연구 지원분야 : 아래 첨단산업 분야 

    • 이차전지, 미래 모빌리티,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지원분야

    세부지원분야

    이차전지

    이차전지 소재·부품, 이차전지 제조

    미래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무인항공기(UAV), 친환경자동차, 스마트선박

    핵심소재

    차세대세라믹소재, 하이테크섬유소재, 첨단화학소재

    지능형로봇

    제조로봇, 개인서비스로봇, 전문서비스로봇, 로봇기반기술

       * 해당사업의 지원분야는 차세대반도체, 미래모빌리티, 이차전지,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디지털헬스케어 총 6개 분야이나, 금번 모집공고를 통해서는 상기 4개 분야에 대해 선발 예정(차년도부터 전체 6개 분야에 대한 파견연구자 모집 예정)

       

    라. 학생 모집 연구개발기관

     ★ 모집기한 등 상세 정보는 기관별 홈페이지 참고

      ☞ 향후 추가 모집 공고이 있을 수 있으니 관심있는 지원자는 홈페이지 상시 확인 또는 해당 주관기관에 문의 바랍니다. 학생 선발은 각 연구개발기관이 주관하므로 KIAT가 아닌 선발주체에 문의 바랍니다

      

    주관

    기관

    선발주체

    지원분야

    모집

    인원

    파견기관

    홈페이지

    가천대

    가천대

    이차전지

    6

    Auburn University

    가천대 홈페이지 링크

    가천대

    이차전지

    4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고려대

    고려대

    지능형로봇

    1

    MIT

    고려대 홈페이지 링크

    고려대

    지능형로봇

    1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고려대

    지능형로봇

    1

    Johns Hopkins University

    고려대

    지능형로봇

    1

    Drexel University

    한양대에리카

    지능형로봇

    2

    뉴욕대학교(NYU)

    해당없음

    (2. 접수 및 문의처 유선·이메일 문의)

    한국

    로봇

    산업

    협회

    지능형로봇

    1

    프라운호퍼

    한국로봇산업협회 홈페이지 링크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한국

    로봇

    산업

    협회

    지능형로봇

    2

    덴마크남부대학

    한국

    로봇

    산업

    협회

    지능형로봇

    1

    올보르대학

    국립

    공주대

    국립

    공주대

    미래모빌리티

    1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국립공주대 홈페이지 링크

    국립

    공주대

    미래모빌리티

    1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청주대

    미래모빌리티

    2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단국대

    미래모빌리티

    1

    ETH Zurich

    단국대

    미래모빌리티

    1

    University of Pennsylvania

    서울대

    미래모빌리티

    2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인천대

    미래모빌리티

    1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인천대

    미래모빌리티

    1

    The University of Rhode Island

    서울대

    서울대

    미래모빌리티

    1

    RWTH Aachen University

    서울대 홈페이지 링크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서울대

    서울대

    핵심소재

    1

    RWTH Aachen University

    서울대

    서울대

    미래모빌리티

    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서울대

    서울대

    미래모빌리티

    1

    Purdue University

    서울대 홈페이지 링크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서울대

    서울대

    미래모빌리티

    1

    New York University

    서울대

    서울대

    미래모빌리티

    1

    University of Michigan

    서울대 홈페이지 링크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서울대

    서울대

    핵심소재

    1

    Institut Jean Lamour

    서울대 홈페이지 링크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서울대

    서울대

    핵심소재

    1

    Washington State University

    서울대 홈페이지 링크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서울대

    서울대

    핵심소재

    1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서울대 홈페이지 링크

    (추후 공고 게시글 업로드 예정으로 해당 링크로 연결되는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서울대

    서울대

    지능형로봇

    1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연세대

    연세대

    핵심소재

    1

    University of Pennsylvania

    연세대 홈페이지 링크

    연세대

    연세대

    핵심소재

    2

    Imperial College London

    연세대

    연세대

    핵심소재

    1

    UCL (University College London)

    연세대

    연세대

    이차전지

    2

    MIT

    연세대

    연세대

    이차전지

    1

    Imperial College London

    연세대

    연세대

    이차전지

    1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마. 지원대상 및 자격요건

    • 국내 대학 석박사 재학생 또는 국내‧외 석박사 학위 소지자 

        - (국적)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남성은 병역관련 법령에 따라 해외 체류가 가능한 자)

    • ­(학력) 국내 석박사 재학생 또는 국내외 석박사 대학원 7년 이내 졸업생(만 34세 이하, 박사후연구생 포함)

    • ­(전공) 파견분야 관련 이공계 전공 국내 석박사 재학생 또는 국내외 석박사 학위 소지자

        ★ 융복합 또는 자유전공인 경우 주요 이수 과목을 이공계열로 볼 여지가 있는 경우 지원 가능

    • 필요시 해외 학위 보유자의 경우 전문기관이 해외학위 지도교수 또는 재직기관 대표 등의 밀봉된 추천서 제출 요청할 수 있음

    • ­(어학) 영어 토플 IBT 88점(토익 770, 토익스피킹 IM3(130), TEPS-S 55, New-TEPS 294, OPIC IM2)

    • 어학성적은 파견연구자 지원접수 마감일 기준 유효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국내 정기시험성적에 한하여 인정하며 조회불가 성적은 불인정(단,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등록된 어학성적의 경우 5년까지 인정)

    • 파견기관이 요구하는 별도의 어학능력 인정기준이 있는 경우 전문기관과 협의하여 어학 기준요건 변경 가능(예시 : 스페인어권 소재 해외기관에 파견시 스페인어 관련 어학성적을 보유하고 해외기관이 이를 인정할 경우 해당 성적으로 대체 가능) 

    • 학사학위 이상 해외 학위소지자는 어학성적 면제 가능(단, 해외 대학 소재국과 파견국의 사용 언어가 외교부가 발간하는 국가별 최신 개황 자료 내 주요 사용 언어와 상호간 일치하여야 함) 

    • ­(성적) 최종학위 성적 3.0/4.0 이상 우수자

    • 학점 변환기준 : 3.22/4.3, 3.37/4.5, 3.75/5.0, 75/100 이상 

    • 석박사통합과정 재학생은 최근 2개년 이상 성적을 최종학위 성적으로 인정 가능 

    • ­(우대)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졸업 후 중소‧중견기업 취업을 약정한 석‧박사 재학생

    • ­(기타) 파견 연구자의 지원 분야 관련 연구계획 구체성, 우수성 등 해외 파견 연구 타당성도 선발 기준의 주요 요건으로 검토 

      

      바. 지원 내용 및 기간 : 파견연구자 인건비, 체재비 및 출국 준비금 등(6~12개월)

    • 상세 지원 내용 및 기간은 각 주관기관마다 상이할 수 있음 

    • 인건비 지급 기준은 주관기관 내규에 따르며, 학생인건비는 석사 월 220만원, 박사 월 300만원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에 따름

    • 체재비는 국가·도시별 상이할 수 있음

    • 출국준비금은 항공권, 비자 및 보험 가입비 등 실비 지원

      

      사. 파견 연구자 의무사항 

    • 출‧입국 등에 필요한 기간을 제외한 실제 연구기간을 기준으로 최소 해외 체류기간(6개월 이상)을 준수하여야 함.

    • 동 사업 지원을 받은 파견 연구자는 해외 연구‧연수 종료 후 1개월 이내에 반드시 귀국하여야 함. 불가항력적인 경우가 아님에도 1개월 이내 귀국 의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해당자에 지원된 국비 전액 이내를 연구개발기관에 반납하고 연구개발기관은 해당 금액을 정산 시 전문기관에 반납함 

    • 동 사업 지원을 받은 파견 연구자가 불가항력적인 경우가 아님에도 파견 연구를 중단하거나 파견 의무사항을 불이행·불성실하게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해외 파견기관으로부터 파견중단 통보를 받은 경우, 또는 제출기한 내에 연구성과 미제출 시, 해당자에 지원된 국비 전액 이내를 연구개발기관에 반납하고 연구개발기관은 해당 금액을 정산 시 전문기관에 반납함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미 지급된 파견연구자지원금을 일시에 환수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연구개발기관과 협의하여 이를 분할하여 환수할 수 있음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천재ㆍ지변ㆍ전시ㆍ사변 또는 국비반납 의무자의 상이ㆍ질병 등으로 인하여 지원금의 환수가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 환수를 유예할 수 있음

    ▸ 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원금을 받은 자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원금을 환수하지 아니할 수 있음

      1. 사망한 경우 

      2.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3. 장애의 정도가 중한 장애인이 된 경우 

      4. 신체ㆍ정신상의 이상으로 수학의 계속이 곤란하여 귀국한 경우 

      5. 기타 지원금을 환수함이 적합하지 아니하거나 불가능하다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인정하는 경우 

     
    • 연구수행 결과물로 파견 종료 후 1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1년 이내 해외 협력기관 소속 연구자와 공동으로 논문을 게재 또는 발표해야 함(1건/인 의무)

    • 국내외 학술지 논문 게재 또는 국내외 학술대회 프로시딩 발표까지 인정(포스터 발표 및 초록 불인정) 

    • 기업 재직자는 논문 대신 특허로 성과물 대체 가능 

    • 파견 연구자는 해외 파견기간 동 사업 인건비 계상률을 100%로 계상하여야 함. 

    • 파견기관과 계약기간 내 국내 체류 가능일은 해외 체류 1개월 당 1일을 허용함. 개인별 국내 체류 가능일을 초과하는 경우 체재비를 일할 계산하여 반납하여야 함 (파견기간에 대한 출입국사실증명서를 결과보고서에 첨부). 

    • 파견연구자는 파견기간 내 분기별 연구보고서를 연구개발기관에 제출하고 연구개발기관은 전문기관 요청 시 이를 취합하여 전문기관에 제출해야함 

      

      아. 선발 방식 : 상기 각 주관대학에 문의 

       ※ 기관별 선발 기준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지원 전 각 주관대학에 문의 바람

      

      

    • 2.접수 및 문의처 

     ※ 각 주관대학마다 상이하므로 아래 각 대학 담당자에게 문의 요망

      

    주관기관명

    지원분야

    담당자 연락처

    전화번호

    이메일

    가천대학교

    이차전지

    -

    eml.gmse@gmail.com

    고려대학교

    지능형로봇

    02-3290-4995

    hjbang@korea.ac.kr

    070-4880-2398

    wjdtjddbs@korearobot.or.kr

    031-400-5292

    gumuli@hanyang.ac.kr

    국립공주대학교

    미래모빌리티

    041-521-9273

    isbyun@kongju.ac.kr

    동국대학교*

    지능형로봇, 핵심소재

    -

    jwsong0620@dgu.edu

    서울대학교

    미래모빌리티,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

    eunoia@snu.ac.kr

    성균관대학교*

    디지털헬스케어, 차세대반도체, 핵심소재

    031-299-6464

    pbrc@skku.edu

    연세대학교

    핵심소재, 이차전지

    02-2123-7818

    sungminlee@yonsei.ac.kr

    울산과학기술원*

    디지털헬스케어

    052-217-6805

    juhee0927@unist.ac.kr

    인하대학교*

    차세대반도체, 핵심소재, 미래모빌리티

    032-260-3122

    jyoon0131@inha.ac.kr

    중앙대학교*

    핵심소재, 차세대반도체

    -

    jjoo8520@naver.com

    한양대학교*

    지능형로봇, 핵심소재, 디지털헬스케어

    02-2220-4110 

    jyk2003@hanyang.ac.kr

        '

       * 해당 주관기관은 차년도(2025년)에 학생 모집 공고 예정으로 관심있을 경우 해당 기관 문의처에 문의 부탁드립니다.

       * 전문기관 문의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인재사업실 신원석 연구원(02-6009-3228 / wsshin1204@kiat.or.kr)

      

      

    • 담당부서 :
    • 담당자 :
    • 연락처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