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대전환의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성장 플랫폼

  • HOME

정책간행물

[정책브리프 2025-1] 인공지능(AI) 시대 인력 개발의 미래

2025-02-06View. 1065
  • 담당부서 :기술동향조사실
  • 담당자 : 정휘상
  • 연락처 : 02-6009-3593
  • 분류 : 산업기술 정책브리프

* 해당 PPT 이미지는 AI 웹툴인 Gamma를 통해 생성 후 편집 및 재구성하였습니다.

  

 

ㅇCONTENTS:

  

Ⅰ. 서론

 

Ⅱ. AI의 직업・스킬 영향

 

Ⅲ. 인력 개발 초점과 주요 과제

 

Ⅳ. AI의 인력 개발 분야 영향

 

Ⅴ. 결론 및 시사점

 

  

ㅇ주요내용:

 

미국 안보신기술센터(CSET)는 AI 확산이 산업과 직무를 변화시키면서 리스킬링·업스킬링이 필수적이라고 분석하였습니다.

 

AI는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화이트칼라 직업까지 영향을 확대하며, AI 노출도가 높은 직업군에서는 재교육이 필요합니다.

 

미래 노동 시장에서는 기술적 스킬보다 기초·사회적 스킬, 사고력의 중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효과적인 인력 개발을 위해 커뮤니티 컬리지, 일터 기반 학습, 디지털 문해력이 핵심 요소로 강조되며, 기업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됩니다. 

 

한국에서도 AI는 고용에 큰 영향을 미칠 기술로 평가되며, AI 도입이 확산될수록 일자리 구조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인력 투자 확대, 정부의 재교육 지원 강화, AI 기반 직업훈련 혁신이 필요하며 정부·기업·교육기관이 협력하여 변화하는 노동 시장에 대비해야 합니다.

  

  

ㅇ문의: 기술동향조사실 정휘상 연구원 (wsjung@kiat.or.kr)

  

  

   

* 원문링크 : AI and the Future of Workforce Training | Center for Security and Emerging Technology

   

한글 파일은 사용자의 시스템에 해당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글자가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원활한 확인을 위해 가능한 PDF 파일로 열람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 한글 첨부파일


TOP